가이드
주주총회 보통결의, 특별결의
읽는데 약 1분 정도 걸려요!
보통결의 VS. 특별결의
보통결의 | 특별결의 | |
---|---|---|
설명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의 방식. 상법이나 정관에서 특별결의로 규정한 것 외에는 모두 보통결의 사용. | 보통결의보다 주주들의 동의가 더 많이 필요한 안건에 사용되는 결의 방식. 주로 정관을 변경해야 하는 안건(회사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는 사항)에만 예외적으로 적용. |
요건 | 출석한 주주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의 1/4 이상 | 출석한 주주 의결권의 2/3와 발행주식의 1/3 이상 |
대표 안건 | 임원 선임⋅사임, 재무제표 승인, 임원 보수 한도, 자기주식 취득 결의, 재무제표 승인 등 | 임원 해임, 정관 변경, 스톡옵션 부여, 인수·합병,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등 |
ZUZU를 사용하시면 위 내용 모두 기억하실 필요가 없어요. 가입하실 때 업로드하신 정관과 상법에 딱 맞게 안건별로 결의 방식을 정해드리거든요.
예를 들어 임원 중임 결의를 한다고 했을 때, 특별결의가 필요한지 보통결의가 필요한지 아실 필요가 없어요. 자동으로 확인해드리니까요. 안건 결의에 필요한 최소 주식 수도 자동으로 계산해드리고요.
번거로운 주주총회는 ZUZU에 맡기시고 사업 운영에 더 집중하세요!
- 관련 가이드: 주주총회·이사회·등기 안건 만들기
* 법률 상담 및 등기 대행, 세무 상담은 파트너사를 통해 진행되며 ZUZU는 어떠한 수수료도 취하지 않습니다.
AI로 더 빠르고 똑똑하게!